90퍼센트의 진실성

마음대로 다시 읽는/시 2017. 7. 19. 00:24
-10퍼센트의 위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발언이 섞인 문장 혹은 문단이 존재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2000년대 이후에도 활동이 있으신 시인 분들의 시도 좋고, 교과서에 나오는 근현대시의 시인들도 좋다.

덜 유명한 시도 좋은 시가 있고, 누구나 알고 있지만 나는 더 좋아하는 시도 있으며, 누구나 알아도 정이 가지 않는 시가 있기도 하다.

덜 유명한 시인의 유명한 시와 유명한 시인의 덜 유명한 시는 어떻게 하느냐는 물음에 역시 나도 답을 내리지 못했다.

그저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 감상하면 그뿐.
이 곳은 내가 좋아하고 곱씹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개인적인 수집처가 되기 때문에.

다섯손가락에 드는 시인들은 언급이 되겠지만, 순위는 직접 밝히지 않을 것. 또한 그 다섯손가락에 드는 시인들의 명단이  2000년대 이후에도 활동이 있었다는 전제를 함의하고 있다는 것. 나는 그들보다 더 좋아하는 시인이 생길 때도 있다는 것. 역시 개인의 취향은 천차만별이라는 것.이 진실된 마음.

무조건적인 추천은 아니며, 평이 있을 때도 있고 평 없이 원문만 실릴 때도 있을 예정.

설정

트랙백

댓글

은희경 단편집 타인에게 말걸기 中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오늘의 노트5를 사용한 캘리그라피를 같이 첨부.
직접 찍은 사진을 갤러리에서 골라내서 슥슥.

은희경, 타인에게 말걸기 (책 소개로 이동합니다.)

소설가 은희경의 작품을 가장 처음 접했던 책이다. 타인에게 말걸기. 당시 과제가 이 중단편집 속 한 작품이어서, 그 작품만 두 번 세 번씩 정독하고 속독하고 발췌독까지 했었다. 그녀의 세 번째 남자. 그 세 번째가 정확히 누구를 가르키는지 해석의 방향을 잡는데 고민했었다.
그렇게 접했던 책을 다시 읽는다는 것은 조금의 용기가 필요하다. 어쩌면 단순한 호기심으로도 충분하다. 의무심으로 대해야하는 책이 생기는 경험이 있는 사람은 조금 망설일 때가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의견이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스포주의?)

'겨울밤의 정적 속으로
매해 참아오던 폭설처럼
당신을 덮겠다.'

막 시작해서 아직 이렇다 할 커다란 진척이 없는 연인관계 . 선술집이었는지 포장마차였는지 술을 마시러 간 상황. 남자는 여자에게 오늘 밤!을 말하고 싶어 저렇게 적은 쪽지를 그녀의 잔으로 괴어 마음을 전하려한다. 얼마나 시적이랴. 참아오던 마음의 절절한 토로는 정적을 깨고 알아달라 외친다.
세상이 눈에 덮였을까. 눈이 세상을 덮었을까.
두 문장이 같아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느껴질 수 있다. 앞선 상황은 이미 내린 눈으로 세상이 하얗게 변한 정적인 이미지가 부각되고, 후자는 눈이 아직 한참 내리고 있는 동적인 이미지가 부각된다. 하물며 폭설처럼 덮겠다고 했다.
물론 이 서정적인 메모는 그녀의 실수로 맥주잔에서 쏟아진 물기 탓에 번져버리고 만다. 불길하게 보이겠지만  번지는 것쯤은 문제될 것 없었다. 다만 문장 속 단어 하나가 가진 이중적 성격이 이미 그들의 말로를 예언해버리고 만다.
폭설의 이미지는 온세상을 새하얗게 만들고 눈의 절정으로 이루어진 광경을 자아낼 수 있다. 하지만 폭설로 내린 눈의 양이 녹는 것은 순간이고, 그 눈이 녹아 질척해진   진창은 흙탕물처럼 불편함만 자아내 치워야할 대상이 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다.

사실 제목처럼 특별한 연인이나 위대한 연인은 흔치 않다. 더욱이 특별하고도 위대하기까지한 연인은 더 힘들 것이다. 이야기 속 연인이 되었던 남녀가 특별하고 위대할까? 아니라는 답에 한 표 던지고 싶다. 그들도 그저 평범한 연인관계를 맺었던 남녀일 뿐이다.

그럼에도 로맨틱하게 보이거나, 번지는 것으로 안타깝게 만들거나 하는 메모 속의 저 문구가 너무 좋아 사진에 글씨를 새기는 작업을 했다.
내 마음에 저런 문장 하나 둘씩 새겨지는 건 그럴 때 더 쉬워지는 듯 하다.

'마음대로 다시 읽는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 왕자 le petit prince  (0) 2017.07.13

설정

트랙백

댓글

어린 왕자 le petit prince


그러나 어린 왕자는 대답이 없었다.

아주 오래 전의 노을 사진을 보며. 어린왕자가 생각났다. 곧바로 집에 있는 책을 펼쳐들어 자신만의 조그만 별에서는 의자를 조금씩 옮겨 그 석양을 계속 봤다는 구절 아래 '나'와 어린 왕자의 대화.

어린 아이의 눈으로 보는 동화 혹은 소설의 재미와
어른이 된 눈으로 행간에 걸쳐있을 현실마저 읽어내며 생각하게 만드는 글의 재미가 또 사뭇 달라서 좋은 책.

어른을 위한 동화에 가깝지 않을까. 이 책에서 어린왕자가 B612 소행성에 살고있었다는 사실이 가장 큰 메르헨이며, 타 행성의 주인들은 물론이고 말하는 장미와 여우까지도 직접 접해볼 수 있는 인간 군상 속의 표집들이기 때문이다.

짧은 단락 속에서도 대답이 없는 어린 왕자의 모습이 퍽이나 누군가를 닮아 오래간만에 다시 읽어야되겠다고 또 결심하고 책장에서 책을 빼내어 놓는 밤.

설정

트랙백

댓글

안도현 아포리즘, 네가 보고 싶어서 바람이 불었다.

아포리즘(aphorism) 신조나 원리를 간결하게 표현한 것, 또는 널리 인정받는 진리를 명쾌하고 기억하기 쉬운 말로 나타낸 것. -다음백과 참고

안도현 아포리즘 (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참으로 출간일의 계절에 어울리는 표지다. 2012년 11월)

교과서에 나오는 동화 '연어'로도 익숙하고, '너에게 묻는다'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음에도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라는 구절로 더 유명한 시의 저자인 안도현 시인.

"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

짧은 세 줄만으로도 사람에게 무언가 곱씹게 만드는 문장의 힘을 가지고 있는 이 시인을 나는 좋아한다. 2000년대 이후에도 활동하는 현대 시인 중에서 좋아하는 시인을 손에 꼽으라면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 그의 여러 시집이 출간되었지만, 마지막으로 읽었던 그의 에세이집 '네가 보고 싶어서 바람이 불었다. 안도현 아포리즘' 이 갑자기 머리에 맴도는 것이 며칠 전의 일이었다.

저자의 에세이집은 출간된 지 얼마 안 되어, 집 앞 도서관  신간 책장에 꽂혀있던 몇 년 전 이미 빌려와 읽었다. 당시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구절을 뽑아 한글 파일로 문서화해서 저장했던 파일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사라졌고, 최근에 설단현상처럼 입 속에서 혀 끝으로 나오려고 안간힘쓰는 내가 어딘가 불쌍했다. 결국 책을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북도 있지만 실제 책을 더 좋아하는 지라 펼쳐보기 쉽게 실물로 사기로 결정했다.

반디앤루니스 같은 대형서점에도 비치되어 있었지만 알라딘으로 향했다. 깔끔하다고 생각해서 4분의 1 가격에 사고 집에 와보니 서너장 정도의 메모가 있었다. 책의 주인도 제 나름대로의 경구를 적어내려간 흔적이었다. 이런 것이 또 중고서적의 맛 아닌가. 그 외에 파지나 더러운 흔적은 없었다.

사실 제목이기도 한 네가 보고 싶어서 바람이 불었다 쪽은 책 겉표지에도 이렇게 실려있다. 실제 책 속에서는 두 문단이지만, 왜인지 더 시에 가깝게 보이는 편집구도다.

그냥 '안도현 아포리즘' 이라고만 제목을 붙였어도, 이름 석자의 힘으로 관심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위치다. 하지만 '네가 보고 싶어서 바람이 불었다'는 구절 하나로 사람들의 마음이 더 동하고 마는 것이다.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일례로 한비자의 책을 '한비자' 라고 이름 붙이는 것보다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는 말을 제목으로 옮겼을 때의 효과는 판매부수에서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전략이 없더라도 저자의 책은 손길이 간다. 저자 소개에서 '90년대 이후 보편적인 정서를 지닌 쉬운 언어로 세상과 사물을 따뜻하게 포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설명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는 바다.

바람이 불고, 물결이 쳤고, 물 속의 햇살은 찰랑찰랑 아닌 차랑차랑한. 간단한 몇 글자에 때로는 웃음 짓고, 때로는 위안 받는다.

사실 계속 맴돌았던 페이지는 이것이었다. 제목이 뭐였지 라는 의문과 완벽하게 기억나지 않는 디테일이 궁금했다.
내겐 나름대로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문장이었다. 이것을 상상해보면 내가 집어든 돌멩이만큼 다시 내려앉는 돌멩이가 있을지 모르고, 그럼에도 어느 쪽에서건 자신의 행동이 계속 되고 있을지 모른다. 그렇다고 미련해 보이는 돌멩이 들어올리기를 그만 두고 말아버릴 나도 아니고.

모든 잠언이 정답이 아니다. 자신만의 잠언은 남과 다를 수 있고, 제 격언 하나 새로 만들 수도 있는 일이다.
내가 이 책을 오래간만에 찾은 것은 모두는 아니지만 꽤나 많이 고개 끄덕이게 하고, 곱씹게 하는 문장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다른 어느 문장보다 마음에 와닿는 페이지 하나 더 소개해야지.

나 또한, 그런 꿈을 꾼다.


-댓글이 어렵다면,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세요.-

설정

트랙백

댓글